Skip to main content

목차

앱, 쓰지만 말고 공부하기

앱 분해하기

규칙을 알아야 규칙을 깰 수 있다.

디자인을 처음 시작했을때,멘붕에 빠졌다.

드리블(Dribbble) 작품을 따라하는데 집착했지만, 그 작품이 실제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선 의식하지 못했다. 나는 작품을 따라하며 드롭쉐도우를 추가하거나 과장된 표현등을 더하곤 했는데, 당신이 만약 이것들을 볼 기회가 있다면 꽤 공포스러울 것이다.

비록 제품디자인의 천재는 아니었지만, 나는 필요한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는 방법을 알았다. 그리고 그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당신이 디자이너든 아니든, 이 예제는 당신의 감각을 선명하게 하고 디자인을 보는 안목을 기르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1. 앱, 쓰지만 말고 공부하기
                 

스스로를 제품 디자이너라고 생각하면서  디자인보는 안목을 길러라. 자주 사용하는 앱을 열고 그저 아무생각 없이 콘텐츠를 스크롤하려는 욕구를 참아내야 한다.. 대신, 다음 내용을 유의하면서 적극적으로 스크린(화면)에 집중해보자..
 

계층

앱의 디자인이 어떤 방법으로 당신의 시선을 이끄는가? 어떤 정보가 강조되어있는가? 색상과 텍스트를 어떻게 처리해서 특정 요소의 중요성을 알리는가?

내용

이 경험을 위해 어떤 구체적인 표현이 선택되었는가? 어떤 콘텐츠가 더 흥미롭고, 어떤 콘텐츠가 그렇지 않은가? 컨텐츠의 틀 안에서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의도

유저가 이 앱을 연 이유가 뭘까? 어떤 문제를 해결해주는가? 디자인이 어떻게 그 문제를 더 잘 해결하도록 도와주는가?

잠재고객

누가 이 제품을 사용할 것 같은가? 당신과 그들의 사례가 어떻게 다른가? 디자인이 그 사례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2. 앱 분해하기

아래 GIF에서 나는 각각의 요소에 더 쉽게 집중하기 위해 앱을 분해했다. 인식하지 못했던 디테일을 관찰하고 애니메이션 안에서 다음 요소로 어떤 것이 나타날지 예상해 볼 수 있다.
각 요소들이 다음 요소 위에 구축되는 걸 보면서, 당신이 본 것에 대해 궁금해하고, 이 제품을 만들기 위해 선택한것을 생각해라. 화면에 보이는 것처럼 각 컴포넌트들은 다음 컴포넌트 위에 쌓여져간다.
이렇게 당신의 눈에 보이는 것들이 어떤 선택과 결정에 따라 만들어졌을지 끊임없이 호기심을 가져보자.

Airbnb 분해

시작하기 위한 몇 가지 관찰

검색 창에 표시되는 Placeholder는 “검색해보시오” 라고 말할 수도 있지만, 그 대신 특정 도시를 언급한다. 런던으로 갈 생각이 없었더라도, 갈 수도 있다고 보여지는 게 흥미롭다.

나는 흐름 안에서 그들이 나중에 볼 수 있는 날짜와 손님으로 몇번이나 반복했는지 궁금하다. 위치를 선택할 때까지 날짜가 표시되지 않는 곳에 대한 탐구는 많은 디자인을 거쳤을 것이다. 이런 사례들은 사람들이 어떻게 검색하고, 그 검색 중에 어떤 식으로 필터를 나타나게 하는지 궁금하게 만든다.

Twitter 분해

관찰                                  

리트윗과 좋아요의 숫자가 얼마나 굵은지 주목해라

time stamp에는 날씨 뿐만 아니라 특정 시간도 포함한다. 왜 이럴까? 또한 앱의 다른 위치에서 time stamp가 짧아지는 곳을 주목해라 (예: 프로필 영역의 경우 “5시간” , 피드 영역에서 “4/14/18”) 이러한 views의 다른 의도를 생각해라

또 다른 트윗을 더하려는가 있고 그 언어는 구체적이다. 단순하게 ‘트윗 추가’ 가 아니라, ‘다른 트윗 추가’이다 .

관찰                                  

Spotify(*역자 주: 전세계에서 가장 인기있는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들 중 하나)가 재생중인 노래를 보기위해 유지하는 방법에 주목해라

New releases에 표시하기로 선택한 콘텐츠에는 새로운 재생목록과 앨범, 싱글이 포함된다.

The playlist new music friday에는 팔로워 수가 표시되지만, 재생목록에는 없다. 이 제약에 주목하자. release radar에는 사용자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팔로워가 없을 것이다. 누군가는 모든 콘텐츠 사용 사례를 매핑하고 이들과 짝을 이룰 적절한 하위제목을 결정해야 했다.

Spotify 분해

3.규칙을 알아야 규칙을 깰 수 있다.

다음에  Lyft(*역자 주: 미국의 카카오택시같은 서비스)에 앉아있거나 친구를 기다리면서 앱을 열고 디자이너가 그런 식으로 디자인한 이유를 생각해봐라. 일상적으로 다른 앱을 분석해나가면  제품에 대한 생각이 발전되고, 직접 앱을 디자인할 때 더욱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의 의견도 듣고 싶다!. 재미있는 얘기가 있다면, 언제든 연락해서 말씀해주시길. 그리고 이 주제에 대해 더 생각해보고 싶다면, Hack design 에 와서 Closing the Creative Gap 수업을 추천한다.